티스토리 방문자 지속적으로 늘리기 및 방문자 분석하기

티스토리

티스토리 방문자 늘리기

 

티스토리 방문자 분석하기

 

티스토리 블로그를 처음 생성후 만들었던 게시글은 아래와 같습니다.

 

챗GPT이용

2024.02.12 - [과거 24.05.11 이전] - 다크써클의 원인과 회복을 위한 최선의 방법!

 

다크써클의 원인과 회복을 위한 최선의 방법!

게시글을 시작하기전 게시글을 시작하기전 당차게 인사드립니다. 생활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소개하는 블로그 LeeSeo 입니다. 분명 어릴적은 없던거 같았는데 청소년기를 지나가고 성인이 되어

leeseo.kr

 

제가 이 게시글을 왜 보여주는지 아마 이해를 못하실 수 있습니다.

이 게시글은 저도 유튜브를 통해서 ai가 게시글 작성을 도와준다고 혹은 자동으로 써준다는 말에 혹해서 몇개 정도 작성을 해봤습니다.

 

Chat GPT 던 뤼튼이던 둘다 이용하면서 게시글을 작성해 보았지만 해당 게시글로 유입되는 방문자는 지금처럼 수기로 적는것보다 더욱더 낮았습니다.

 

처음에는 구글 검색에도 노출이 되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순위권은 점점 밀려나고 구글 SEO에 부적합한 방법이라고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저는 제가 가용할 수 있는 정보들을 바탕으로 '지급명령신청, 개인회생, 티스토리 꾸미기' 등 실제 제가 진행했던 혹은 겪으면서 궁금했던 바탕으로 게시글을 작성하다보니 자연스럽게 하루에 적어도 10명 정도 들어오는 블로그로 한걸음 하게 되었습니다.

 

방문자 분석하기

초반 방문자를 늘리기 위해서는 포럼에 게시글 적는게 좋다고 하여 게시글을 작성했습니다.

맞구독 구합니다. 부터 해서 이웃을 구한다고 올렸고 그 결과 처음 시작한 2월달 3월달 에는 기타 유입인 포럼쪽에서 넘어오는 유입이 상당했습니다.

 

하지만 이때까지만 해도 그렇게 현실적인 수익이 생기지 않았고 애드센스 승인도 지속적으로 거절을 당했습니다.

 

 

물론 제가 부지런하게 게시글을 작성을 못해서 그런거 일수도 있지만 막상 저도 유튜브나 책을 보고 티스토리에 흘러 들어온 경우라 생각보다 게시글 쓰는게 어렵게 느껴졌습니다.

 

아앗.. 죄송합니다. 방문자 분석하는 과정을 적는다는게 애드센스로 자연스럽게 흘러갈뻔했군요.

 

저번달과 이번달에도 마찬가지로 기타 유입이 발생했지만 2월달, 3월달을 비교하면 확연하게 외부 유입이 많아진것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이번달 일일 방문자 그래프를 보면서 한번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기타 유입도 많지만 외부유입도 지속적으로 생기고 있고 카카오톡을 통한 유입도 늘고있습니다.

12일날은 왜 인지 모르지만 유입이 엄청 적어 포럼에 이웃구합니다~ 라고 게시글을 작성하여 간신히 방문자수를 유지 했습니다.

 

05월 15일인 현재 시간을 기점으로 (오전 07시37분) 방문자 가 유입된 키워드를 보면

 

이렇게 유입이 된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꿈해몽 3, 닭고기 미역국 1, 지급명령 1, 폴더 만들기 1 이렇게 분석이 가능합니다.

 

여기서 저는 무엇을 추가했냐면 꿈 해몽이 보다 유입이 좋으니 꿈해몽 관련된 게시글을 이벤트성으로 작성해줬습니다.

물론 저는 실제로 제가 꾼 꿈을 가지고 꿈해몽 게시글을 작성합니다.

 

꿈해몽을 어떻게 잘아냐고 물어보시면 꿈해몽은 개개인별로 해몽을 하는 방식이 다릅니다.

긍정적일수도 부정적일수도 있지만 무엇보다 어려운경우 관련 책을 찾아보거나 검색을 해서 여러 정보를 취합하고

평균값을 내서 작성을 하게 됩니다.

 

결론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트래픽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면서 댓글도 늘고 공감도 늘어야 하는 맛이 있지만

포럼에 ㅇㅇ구합니다~ 맞구독가요~ 저처럼 올리시면 자연스러운 유입이 안되고 광고성 이웃분들만 늘어나게 됩니다.

그래서 일부 구독을 취소 처리 하였고 현재는 저는 제가 구독한분들은 도움이되고 혹은 저에게 흥미가 있는 게시글을 위주로 작성해주셔서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게시글을 읽고 있습니다.

 

지금 당장에 편하겠다고 인공지능을 이용해서 작성하시면 지금 당장에는 좋겠지만

추후에 검색엔진들이 필터링도 할 수 있으니 생산형 게시글은 지양하는게 좋을듯합니다.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이니 참고만 해주세요.